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예시를 통해 터널링을 알아보자

by hayz 2022. 1. 28.

터널링, 오버레이 등등 다양한 용어들에 대해서 접해본 적이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접하는 경로는 클라우드를 통해서 이거나 꽤 규모가 큰 기업의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해보고자 하면서 접해본 단어들일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막상 이런 용어들을 접하고 설명을 들어도 그래서 어떻게 되어 있다는거지..? 하는 생각이 들면서 정확히 감이 잡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글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에 대해서 자세한 내부 동작 구현방법 들까지 다루지는 않고, 해당 기술이 도대체 어떤 영향이 있다는거고 어떻게 동작을 한다는거지? 를 알아가는데에 목적을 두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터널링 이라는 단어부터 살펴보겠습니다.


Q. 터널링이 그래서 뭔가요?

A. 터널링이란 인터넷에 검색하면 "데이터 스트림을 인터넷 상에서 가상의 파이프를 통해 전달시키는 기술" 이라고 나옵니다. 사실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고 있는 상태라면 이해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라면 당최 무슨 소리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예를 들어서 살펴보겠습니다.

예시

나에게는 같은 언어를 쓰고 같은 나라에 사는 친한 친구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친구가 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되어서 쩌 멀리 영국으로 떠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당시 (인터넷이 발전되지 않았다고 가정을 한다면) 서로 안부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우편이 유일했습니다. 하지만 원래는 그냥 "서울시 강남구 내친구아파트 101동 수신자 박영국" 과 같이 적어서 우편을 보내면 내 친구집에 도착을 했지만, 친구가 영국으로 떠나버리는 바람에 그럴수 없습니다. 거기다 영국까지 가기 위해 중간에 여러 나라들의 우체국을 거쳐 가야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만 통용되는 주소로 우편을 보낼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본인이 영어를 잘 한다며 내가 가는길에 너의 우편을 가방에 넣어가 줄게 라고 말하는 친구가 나타났고, 그 친구는 자신이 영국에 보내려는 우편 속에 제 우편을 잘 넣어서 배달을 시켜줬습니다. 그 친구가 보낸 우편의 주소에는 "From Korea, To UK" 라고만 적혀있더라구요. 그렇게 여러 알수 없는 외국의 우체국들을 지나 친구가 사는 곳에 도착했고 제가 적어둔 "수신자 박영국" 글을 해당 지역의 한인마을에서 확인하여 친구에게 전달을 해주었습니다.

자 위의 예시를 잘 읽어 보셨나요?
예시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외국의 우체국들은 내 우편을 보지 않는다, 단지 From Korea, To UK 를 보고 영국까지 배달을 해 줄뿐이다" 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나를 감싸고 있는 우편만이 외국의 우체국들을 지나왔을 뿐 나의 우편은 안전하게 가방속에서 전달되었습니다. 결국 내가 보내고자 하는 친구 주소나 편지 내용들이 외국의 우체국들에게 알려지지 않는다는 것이죠.

그러면 다시 돌아와서, 네트워크에 대입해보겠습니다. 보통 하나의 출발지에서 다른 목적지로 이동을 하고자 할때, 두 네트워크 대역이 하나의 스위치라고 하는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이상 라우터라고 하는 장비를 통해 전달되어 도착하게 됩니다. 하지만, 출발지나 목적지나 우린 같은 네트워크를 쓰고 싶은데 서로 동일한 물리적 장치를 통해 연결할 수 없는 경우 사용하게 되는 것이 터널링 이라는 것입니다.


Q. 물리적 장치요..? 스위치요..? 그런거 잘 모르겠어요

A. 음 쉽게 말하면 물리적 장치라는 것은 실제로 눈으로 만질수 있는 장치를 말해요. 그럼 그냥 장치지 왜 물리적 장치인가 싶을 수도 있는데, 그건 가상의 장치 라는 말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똑같은 장치인데, 하나는 실제로 만져지고 눈으로 보고 할수 있지만 가상의 장치는 장치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이 되어있거나 특별한 기술들을 이용하거나 해서 가상으로 존재한다고 표현을 해요.

그리고 그냥 스위치라고 하면 아래처럼 생긴 보통 하나의 물리적 장치를 말해요. 이 장치에 연결된 컴퓨터끼리는 서로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고 따로 라우터 라고 하는 별도의 장치를 들어가지 않고 주고받을 수 있어요.

 


Q. 그런데 라우터는 왜 들어가는 건가요?

A. 라우터라고 하는것은 네트워크 상에서 길을 찾아주는 역할을 해요. 내가 부산에 있는 친구에게 컴퓨터로 메신저를 보내고 싶은데, 내가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 실제로 그 친구의 컴퓨터와 내 컴퓨터가 서로 하나의 선이 연결되어 있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누군가는 그 부산에 있는 내친구 컴퓨터의 주소를 보고 어떤 길로 가야 하나.. 하고 고민을 해주고 찾아가 줘야 해요 바로 이러한 역할을 하는것이 라우터입니다.

 


위와 같이 터널링에 대해서 예시를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자세하게 터널링에 대해서 기술이나 네트워크 내부 패킷들에 대한 설명이 아니더라도 해당글을 통해 아 터널링이 대충 이런 역할을 하는구나 .. 정도만 알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