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어떤 책을 읽으면서 "이기적 유전자" 라는 책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봤다. 해당 책에서는 이 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지 않았고, 반대되는 의견을 가진 책이었다. 그 책을 읽으며, 오히려 "이기적 유전자" 라는 책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고, 바로 읽게 되었다.
이 책은 총 13장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책 출판 40주념 기념판을 읽었다. 원래.. 다 읽고 후기를 작성하려 했으나 꽤나 책의 내용이 한번에 요약하기 어렵다고 느끼기도 했고, 어렵다고 느끼기도 해서 각 장 마다 내용을 정리해 보려 한다..
(개인적으로 이해한 부분이라 잘못 된 내용이 있을 수도 있음)
1장 - 사람은 왜 존재하는가? (Why are people?)
1장에서는 이 책에서 다룰 내용과 다루지 않을 내용에 대해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갔다. 그리고, 이 책에서 정의하는 "이기적" 인 특성과 "이타적" 인 특성에 대해서 정의했으며, 이 책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언급했다.
앞부분 부터 이 책에서 주장하는 내용중 몇가지를 정리해 보면
"사람을 비롯한 모든 동물이 유전자가 만들어낸 기계이다."
"성공한 유전자에 대해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성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비정한 이기주의'라는 것이다."
"공동의 이익을 위해 관대하게 협력하는 사회를 만들기 원한다면 생물학적 본성으로부터 기대할 것은 거의 없다는 것을 경고로 받아들이기 바란다. 우리는 이기적으로 태어났다."
"나는 선택의 기본 단위, 즉 이기성의 기본 단위가 종도 집단도 개체도 아닌, 유전의 단위인 유전자라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여기까지 보았을때, 생각할 수 있는건 유전자라는 단위가 개체의 메인 요소이고, 이 유전자를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체(사람) 이 존재한다 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유전자는 "이기적" 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이후의 장들에서 왜 유전자가 기본단위라고 생각하는지, 왜 이기적이라고 하는지 나오게 된다. 여기까지는 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요약해서 말해주었다고 생각한다.
"이기주의와 이타주의의 행동의 심리적 동기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다만 이 행위가 수혜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를 내는지 중요할 뿐이다."
이 부분이 조금 의외였는데, 실제로 이기적인 행동과 이타적 행동은 그 마음과 동기가 어떻든, 실제 그 행동에 따라 누구에게 이득이 가게되었는지를 보는데에 초점을 맞췄다고 한다. 즉.. 사람의 심리적인 요소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누가 이득을 보았는지를 확인한 것이다. 사실 최종적인 결과에 단 하나의 행동만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어떻게 그 행동으로 인해 나온 결과인지 알아낸건지 방법이 궁금해졌다.
"자기 집단의 이익을 위하여 희생할 수 있는 개체들로 구성된 종은, 각 개체가 자기 자신의 이기적 이익을 우선으로 추구하는 다른 경쟁자 집단보다 절멸의 위험이 적을지 도 모른다" - 집단선택설에 대한 설명 중..
"다른 이타주의자를 이용하려는 이기적인 반역자가 한 개체라도 있으면, 정의에 따르자면 그 개체는 아마도 다른 개체보다 더 잘 살아남고 자손도 더 많이 낳을 수 있을 것이다." .. "여러 세대의 자연선택을 거치고 나면, 이 '이타적 집단' 에는 이기적인 개체가 만연해 있을 것이다." - 개체선택설에 대한 설명 중..
이 책에서 뒤에 자주 등장하는 집단 선택설, 개체 선택설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간단히 얘기하면 집단 선택설은 '집단 > 개인' 인 종들이 모여 있는 것으로, 집단의 안전을 위해 자기를 희생하는 형태이고 개체 선택설은 '집단 < 개인' 인 종들이 모여서, 결국 특정 집단을 구성하는 종들은 살아남은 개인들 이다. 라는 뜻이다. 그리고 이 저자는 개체 선택설을 지지한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왜 유전자가 이기적인 특성을 갖게 되었는지를 이해하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두번째 학설을 이해하게 될것 같다.
별도로 아래는 개인적으로 인상깊었던 부분들이다.
"집단내 이타주의는 집단 간의 이기주의를 동반할 때가 많다. 이것이 노동조합의 기본 원리다."
"집단선택설이 큰 매력을 갖는 이유는 그것이 대부분 우리가 갖고 있는 도덕적 이상이나 정치적 이상과 조화를 이루기 때문일 것이다"
참고..?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두번째 지리산 후기 (3) | 2023.12.31 |
---|---|
2023 지리산 후기 (2) | 2023.11.24 |
[책 후기] <기억의 뇌과학> - 리사 제노바/ 윤승희 역 후기 (3) | 2023.04.24 |
[책 후기] <비트코인, 블록체인 바이블> - 장세형 후기 (0) | 2023.03.04 |
2020 카카오엔터프라이즈 2차 면접 후기 (+합격) (4) | 2022.02.05 |
댓글